1. 루나틱 기준, 왕국 투자는 피레네, 브로디아, 이르시온, 솔룸순으로 2322를 추천.
각각의 왕국 투자가 열리자마자 해당 레벨을 찍어주는게 좋습니다.
루나틱 초회차 때는 아무래도 정보가 적다보니, 광석 1개짜리를 2개로 늘려줘봤자 어디 쓰겠냐 싶어서 피레네, 브로디아 두국가만 22렙을 찍었었습니다. 그런데 투자에 따른 광석수급을 갯수로 볼 게 아니라, 배수로 늘려주는 거라고 보셔야 합니다.
1회차에서는 쓸데 없는 무기들에 자원을 낭비하다보니 난이도가 올라간 측면도 있지만, 2200과 2322는 광석 수급량에서 말도 안되게 차이가 크네요. 그때는 무기 강화도 제대로 못해서 빌빌 거렸지만, 2회차는 치키빨+2322빨(?)로 개빠르게 미는 중입니다. 대충 하루에 3~6시간 한다 치면, 미션 4개 이상 깨는듯
2. 치키=사기
1회차에는 돌싸개로만 썼다가, 2회차에 가서야 제대로 써보고 있는데, 왜 이게 사기 소리를 듣는지 드디어(?) 알게 됐습니다.
단순히 "응 사기 끝 수구" 하고 넘어가기에는 성의가 없어보이니..대충 다음과 같은 용도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어중간한 성능의 애정캐를 종장까지 끌고 가는 용도(쓸만한 스킬을 갖고 있지 않거나, 영입 초기 능력치, 성장률 다 꼴아박은 캐릭 등), 좋은 고유 패시브를 갖고 있는 물리캐를 더 좋게 만드는 용도.
제 경우에는 유나카>미스티라 순으로 소유자가 넘어갔는데, 유나카는 전반적인 성능이 좋아졌고(초회차에서는 21장쯤 가면 모기딜만 박혔던 것 같은데, 2회차에서 가봐야 좀 더 명확해질듯. 아무튼 흙수저 유닛들은 힘 or 마력이 쎄거나, 다임 썬더님이 있어야 됩니다), 미스티라도 완만하게 잘 성장하고 있습니다.
3. 외전들
린 외전은 빛활을 먹고 난 후에 가면 많이 쉬워지고, 카무이 외전은 재이동을 찍고 난 후에 가면 재밌어집니다(?).
카무이를 농락하는 신룡단
4. 조우전
시야가 어두운 에이리카 신전 조우전 같은건, 단순하게 병력을 하나로 합치면 쉽게 깰 수 있습니다.
...만 그랑수르 대교 조우전처럼 개활지에서 비병들이 몰려오는 맵은 결국 화력과 재행동이 중요한듯.
비병들이 단단하니 마딜을 너무 데려가진 말 것(마도병으로 비병을 어설프게 잘랐다가 뒤에 날아오는 비병에 역으로 잡힐 수 있음), 회피가 되거나 좀 튼튼한 애들 위주로 꾸릴 것, 댄서+벨레트, 궁수는 두명정도 데리고 가면 좋고 빛활도 갖고 갈 것, 시작하자마자 인게이지를 써서 위협적인 병력을 다 정리할 것?
어쩔치키 저쩔치키
대충 첫턴에 화력 쏟아부어서 대부분 정리하고, 2턴부터는 임기응변
에테르 폭탄
1회차때 강화를 못한 빛활도 요긴하게 써먹었는데, 강화 빛활은 더 쎕니다.
모래진영이 터지기만 하면 투척창으로도 원턴킬을 할 수 있는 미스티라(경갑 한정ㅎ).
딸피일 때 월광 터트리거나, 일반 크리도 희한할 정도로 못터트리는 스타루크와 격을 달리하는(?) 강력함
'게임 > 파이어 엠블렘 인게이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나&젤코바 B랭크 지원회화 (0) | 2023.02.07 |
---|---|
안나&젤코바 C랭크 지원회화 (0) | 2023.02.07 |
신의 요리사 (0) | 2023.02.07 |
약속의 반지 회화, 프랑 (0) | 2023.02.05 |
프랑&뤼에르 A랭크 지원회화 (0) | 2023.02.05 |